훈련간식 기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20대 직장인 최모 씨는 애완고양이 ‘모모’를 6년째 반려동물 유치원에 보내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인 그는 반려견이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분리불안이나 공격성 동일한 행동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고 보고, 다른 반려견들과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준비했다.

최 씨는 “어차피 아이도 없어 강아지를 내 자식처럼 키우고 있다”며 “한 달에 50만 원 정도의 유치원비가 들지만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프리미엄 유치원은 월 300만 원이 넘는 곳도 있을 것입니다”며 “그에 비하면 나는 비교적 합리적인 선택을 한 셈”이라고 추가로 언급했다.

image

하울팟 유치원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훈련간식 강아지들. 사진=대교 공급

하울팟 유치원에서 기한을 보내고 있는 강아지들. 사진=대교 공급반려동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을 것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말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약 1200만 명에 달완료한다. 관련 시장 크기는 2027년 2조 원에서 매년 9.5~14.7%의 성장률을 보여 2033년에는 28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거기는 ‘펫팸족’이 늘면서 교육, 돌봄, 미용, 여행 등 관련 서비스 수요도 급상승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에 따라 처음의 실습업계도 반려동물 시장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이목하며 사업 다양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별히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로 원래 산업 분야가 위기를 맞으면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실습 수요 축소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반려동물 시장에 속속 진출하는 분위기다.

학습기업 대교는 전년 반려동물 전공업체 ‘하울팟’을 인수하며 펫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었다. ‘하울팟 유치원’을 따라서 애완 고양이의 사회성 실습, 파악능력 촉진, 행동 교정 등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을 것이다. 한남·서초·분당·위례 등지에서 프리미엄 펫케어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을 것입니다.

‘빨간펜’으로 잘 알려진 교원그룹 역시 펫 시장에 뛰어들었다. 작년에는 펫 프렌들리 오피스텔 ‘키녹(KINOCK)’을 발매했었다. 기존 오피스텔을 리노베이션해 반려동물 중심으로 설계된 이 오피스텔은 펫 파크, 펫 유치원, 미용실, 리테일숍 등 반려동물을 위한 복합공간으로 구성하도록됐다.

한 교육업계 관계자는 “실습회사의 반려동물 시장 진출은 학령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반려동물과의 감성적 교감을 중요시하는 구매자 니즈 변화에 대응한 측면도 크다”고 말했다.